라켓볼 이란?
라켓볼 (Racquetball)은 사방이 벽으로 둘러싸인 직육면체의 공간에서 라켓으로 벽면에 공을 치고, 튀어나오는 것을 번갈아 치고 받는 경기이다.
이는 스쿼시와 비슷하지만, 천장도 이용하며, 공이 더 크고 탄력이 있다. 1940년대 말에 미국에서 시작되어 대한민국에는 1968년 미군으로부터 전해졌다.
코트 및 장비
다음 설명하는 코트와 장비가 라켓볼 경기에 필요하다.
라켓볼 코트 : 6면이 막힌 실내 혹은 실외 경기장.
표준 라켓볼 코트는 길이 40피트, 폭 20피트, 높이 20피트이며 붉은 라인으로 서비스지역과 리시브지역이 표시되어 있다.
코트를 둘러싼 각 면은 앞벽(front wall), 뒷벽(back wall), 옆벽(side walls), 윗벽(ceiling), 바닥(floor)으로 불린다.
서비스박스는 쇼트라인(앞벽과 뒷벽의 중간지점에 표시된 붉은 실선)과 서비스라인(앞벽에서 15피트지점의 붉은 실선) 사이의 공간이다.
서비스박스 안에는 쇼트라인과 서비스라인에 직교하는 두 종류의 라인이 존재한다.
첫 번째 라인은 옆벽으로부터 18인치 떨어진 곳에 옆벽에 평행하게 그려져있다.
옆벽, 서비스라인, 쇼트라인과 이 라인으로 구분되는 지역을 더블즈박스라고 하는데,
복식경기에서 서비스할 때 서비스를 하지 않는 공격측 경기자는 이 박스 안에 있어야 한다.
옆벽에서 36인치 떨어진 곳에 또 다른 라인이 있는데, 이 라인을 스크린라인이라고 한다.
경기자가 스크린라인과 스크린라인에서 가까운 쪽 옆벽 사이에서 서비스를 할 경우,
반드시 자신과 자신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 옆벽의 사이로 공을 보내야만 한다.
리시빙라인(receiving line)은 쇼트라인에서 뒷벽쪽으로 5피트 떨어진 곳에 점선으로 그려져 있다.
다른 필요한 장비
라켓볼공: 직경 2.25인치(57mm)의 잘 튀는 고무공
라켓볼 라켓: 길이 22인치(55.88cm)이하의 라켓
라켓볼 보안경 (경기중 필수장비; 라켓볼 보안경 없이 경기하는 일부 경기자들이 있지만 이는 권장하지 않음.
공에 의한 눈에 직접적인 타격은 시력에 영구적 피해를 줄 수 있음).
라켓볼은 다른 라켓스포츠와 달리 대부분의 경기자들이 장갑을 착용하는데,
이는 라켓의 그립감을 좋게 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장갑은 필수적인 장비는 아니다.
또한, 경기자들은 일반적으로 편안한 반바지와 반소매 옷을 입고, 코트를 사방으로 재빨리 움직이는 것에 중점을 두고 디자인 된 라켓볼 신발을 신는다.
라켓볼 공은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되며 일부는 실내용 혹은 실외용 등의
특정한 목적으로 제작되긴 하지만 즐기기위한 일상적인 취미 플레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라켓볼 공은 종종 깨지기도 하며 오래 쓰다 보면 탄력을 잃는 경우도 있다.
라켓볼 의 경기 방법 및 규칙
서브로 경기를 시작한다.
서브권을 가진 선수는 바닥에 공을 한번 바운스 시킨 후 라켓으로 쳐서 바닥(floor)이나 옆벽(side wall)을 건드리지 않고 직접 앞벽(front wall)에 맞춰야 한다.
앞벽(front wall)에 바운스된 공은 쇼트라인을 넘어서 바닥에 떨어져야 하는데, 쇼트라인을 넘지 못하면 폴트로 간주한다.
서브가 된 공은 바닥에 바운스하기 전에 옆벽에 한번 이하로 바운스해도 된다.
앞벽을 맞고 바닥에 바운스하기 전에 양쪽 옆벽을 모두 맞는 것은 쓰리-월-서브(three wall serve)라고 하며 폴트로 처리된다.
또한, 앞벽을 맞고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바로 뒷벽을 맞추는 경우는 롱-서브라고 하며 역시 폴트로 처리된다.
또다른 폴트 서브에는 실링-서브(ceiling serve = 앞벽과 천장을 연속으로 맞추는 서브)와 수비 선수가 준비되지 않았을 때 서브를 넣는 경우가 포함된다.
또한, 서브를 넣은 선수가 공이 쇼트라인을 넘어가기 전에 서비스 박스 밖으로 나올 경우 역시 폴트로 처리된다.
만약 서브가 프론트월에 닿기 전에 다른 벽, 즉, 옆벽, 뒷벽, 천장, 바닥을 먼저 건드리게 되면 첫 번째 서브이든 두 번째 서브이든 상관 없이 서브권을 잃는다.
공이 쇼트라인을 넘어서 바운스되거나 리시빙라인을 넘으면 수비측 선수가 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서브권을 가진 선수에게 두 번의 서브기회가 주어지는 경기방식을 “투-서브-룰 (two serve rule)”이라 부르며,
단 한번의 서브 기회만을 허용하는 방식을 “원-서브-룰 (one serve rule)” 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경기에서는 보통 투-서브-룰을 적용하며, 엘리트 레벨 경기 등에서는 종종 원-서브-룰을 채택하기도 한다.
일단 서브가 성공하면 랠리가 시작되는데, 양측 선수가 번갈아가며 공을 앞벽으로 쳐낸다.
상대방의 공을 받을 때는 바닥에 한번 바운스시켜 받든가 바운스 없이 직접 쳐내도 된다.
하지만 그렇게 쳐낸 공은 바닥에 떨어지기 전에 반드시 앞벽에 맞아야만 한다.
서비스 때와는 달리, 랠리 중의 공은 바닥에 떨어지기 전에 앞벽을 맞출 수 있기만 하다면 바닥을 제외한 다른 벽,
즉, 옆벽과 천장에 얼마든지 바운스해도 된다.
방해
라켓볼 경기 성격상, 상대방이 차지하고 싶은 위치에 자신이 서 있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런 경우 상대방이 공을 받는 것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을 ‘힌더(hinders = 방해)’ 혹은 ‘페널티-힌더(penalty hinders = 벌칙 방해)’라고 한다.
힌더의 경우 현재의 랠리를 다시 하게 되고 페널티-힌더의 경우 방해를 초래한 선수쪽이 랠리에 진 것으로 처리된다.
힌더와 페널티-힌더(혹은 정식표현으로 ‘어보이더블-힌더’ = avoidable hinder)의 차이점은
확실히 이길 수 있는 기회를 상대방의 방해로 인해 노쳤을때를
페널티-힌더로 보는 반면 상대방이 노친 공이 결정구가 되었을지 어땠을지 명백히 알 수 없는 경우를 힌더라고 한다는데 있다.
이 차이점은 거의 모든 경우 심판의 판정에 따른다.
점수
서브권을 가진 편만이 점수를 딸 수 있으며 서브 성공으로 시작된 랠리에서 이기는 경우를 1점으로 계산한다.
경기하는 동안 경기자가 다음 경우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 랠리에서 진 것으로 간주한다.
1. 공을 쳐내기 전에 두 번이상 공이 바닥에 바운스될때.
2. 쳐낸 공이 앞벽을 맞추지 못한채 바닥에 떨어진 경우.
3. 공이 관중석으로 날아간 경우, 벽이 열린 곳으로 나간 경우, 혹은 그 외 코트의 정식 경기지역이 아닌 표면에 맞았을 때.
4. 타구 방향이나 속도면에서 앞벽을 맞추지 못했을 것이 명백한 공이 다른 플레이어에게 맞았을때.
5. 자기가 친공에 자신이나 같은편 선수가 맞았을때.
6. 페널티-힌더를 범한 경우.
7. 랠리 도중 라켓을 쥔 손을 바꿨을때.
8. 라켓에 달린 손목줄을 착용하지 않았을때.
9. 유니폼이나 신체 중 일부로 공을 건드렸을 때.
10. 공을 단번에 쳐내지 않고 라켓으로 끌었을때.
미국 라켓볼 규정상, 경기는 삼판이선승제로 이루어지며 첫 두 경기는 15점까지, 세 번째 경기는 11점까지 치른다.
미국 라켓볼 규정은 듀스를 정하지 않으므로, 15-14, 14-15, 11-10 등의 매치스코어가 가능하다.
캐나다 라켓볼 경기는 마찬가지로 삼판이선승제로 이루어지나 듀스를 정하고 있다.
국제 경기는 국제 라켓볼 연맹 (International Racquetball Federation = IRF) 이 주관하며 미국 라켓볼 규정과 같은 시스템으로 치러진다.
그러나, 남녀 프로 투어 경기는 11점짜리 오판삼선승제로 이루어지며 듀스가 있다.
변형된 게임
라켓볼 경기는 2인, 3인, 혹은 4인 경기가 있는데 단식(2인 경기)가 가장 보편적이다.
2인 경기는 단식, 4인 경기는 복식이라 한다. 토너먼트 경기는 단식, 복식 중 한쪽 혹은 양쪽의 디비전이 있다.
3인 경기는 일반적으로 “컷-스로트 (cut-throat)”라는 이름으로, 가끔은 “철인경기 (ironman)”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각 경기자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나머지 두명을 향해 서브를 넣고 두 경기자는 한 팀이 되어 서브를 받는다.
또 다른 3인 경기는 “캘리포니아 (california)” 혹은 “인-앤-아웃 (in-and-out)”으로 불리는 1대1 경기인데 두명만이 경기에 참가하고
세 번째 경기자는 코트 밖에서 경기에 참가하지 않는다.
랠리에서 진 경기자는 랠리에서 빠졌던 세 번째 경기자와 교대하고 이긴 경기자는 랠리에서 그 세 번째 경기자에게 서브를 넣는 것으로 새 랠리를 치른다.
또다른 3인 경기 변형은 “세븐스 (Sevens)”인데 한명의 경기자가 나머지 두 경기자로 이루어진 팀(2인팀)을 상대로 경기를 하는데 7점을 내면 경기가 끝난다.
2인팀이 먼저 7점을 내면 그대로 경기가 끝나고 1인팀이 먼저 7점을 내면 그대로 14점까지 경기 연장된다.
만약 1인팀이 또다시 먼저 14점을 내면 21점까지 다시 연장하며 1인팀이나 2인팀이 21점을 먼저 내면 경기가 끝난다.
라켓볼 용어
다운 더 라인 킬 샷(Down The Line Kill Shot)
볼이 사이드월을 따라 평행으로 낮고 강하여 포인트가 되도록 치는 타법
데드볼(Dead Ball)
랠리중 경기가 중단되는경우의 볼
드라이브(Drive)
프론트월을 향해 강하게 치는 샷
드롭샷(Drop Shot)
볼의 스피드를 떨어뜨려 상대의 리듬을 깨는 타법
라인즈맨(Linesmen)
선심( 좌우 2인이 기본)
랠리(Rally)
게임중에 상대와 볼을 주고 받는 상황.
로우 Z서브(Low Z Serve)
낮고 강하게 Z형태의 각도로 회전력이 걸리는 서브
로브 샷(Lob Shot)
코트의 상단을 이용하여 백월쪽에 가까이 떨어트리는 샷
로우 드라이브서브(Low Drive Serve)
에이스 확률이 높은 낮고 강한 서브
리시버(Receiver)
서브를 받는 상대 선수
리시빙라인 바이올레이션(Receiving Line Violations)
서브 리턴시 리시버의 라켓이나 신체가 리시빙 라인을 넘어을 때의 경우를 말하며 서브권을 상실한다.
리시빙라인(Receiving Line)
쇼트라인 뒤의 점선을 말하며 수비자가 서브리턴시 침범할 수 없는 리턴제한선.(서브리턴시에만 적용)
리플레이(Replay)
힌더등 경기중 심판의 콜에 의해 다시 진행되는 상황(포인트 변경 없다)
매치포인트(Match Point)
게임의 승패가 걸려있는 마지막 점수
미들코트(Middle Court)
서비스라인에서 리시빙 라인까지의 공간 지역으로 패싱샷이 효과적인 지역
발리샷(Volley Shot)
볼이 바운드 되기 전에 공중에서 타구하는 것
백스윙(Back Swing)
샷을 하기 위한 준비 자세로 라켓을 뒤로 빼는 동작으로 테이크백이라고도 함.
백월플레이(Back Wall Play)
볼이 후면을 맞고 바운드되어 나올때 행해지는 샷
백코트(Back Court)
쇼트라인에서 백월까지의 공간으로 실링과 패싱샷이 효과적인 지역
백핸드(Back Hand)
오른손잡이의 플레이어가 라켓을 후면으로 치는 것
브로킹(Blocking)
상대선수나 볼을 가로막는 행위.(고의성일 경우 서브권상실 또는 포인트 잃음)
사이드아웃(Side Out)
단식에서 실패한 서브. 복식의 경우 둘 다 실패하여 서브권이 바뀌는 상황.
사이드월플레이(Side Wall Play)
사이드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볼의 대한 리턴및 샷
사이드앵글서브(Side Angle Serve)
프론드월 사이드월,백코트 바운드후 백월을 이용하여 빠르고 강하게 회전하는 서브를 말하며 상대가 지친경우 효과적임.
서버(Server)
서브를 하는 공격선수
서브아웃(Serve Out)
규칙에 따라 서브를 실패한 경우
서비스라인(Service Line)
쇼트라인 전면 1.5m 앞 라인으로 서브시 적용되는 라인
서비스박스(Service Box)
복식 경기에서 서버의 파트너가 위치하는 지역 (약 45cm)
서비스 존(Service Zone)
서비스라인과 쇼트라인의 사이의 서브하는 지역.
세이프티 존(Safety Zone)
쇼트라인과 리시빙라인안쪽 부분을 말하며 서브할 때 리시버로부터 서버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지역
쇼트라인(Short Line)
프런트코트와 백코트의 경계선으로 서브 때 적용되는 라인 (서브의 in,out을 결정)
쇼트서브(Short Serve)
쇼트라인을 지나지 못한 실패한 서브
스코어 카드(Score Card)
심판이 점수를 기록하는 용지
스코어 보드(Score Board)
라인즈맨 또는 보조자가 점수를 표시하는 점수판.
스크린볼(Screen Ball)
리턴시 상대 선수의 몸에 가려서 시야를 방해 받는 볼로서 힌더 적용.
실링샷(Ceiling Shot)
볼을 천정을 향해서 치는 샷으로 앞의 상대를 뒤로 보낼때 사용(센터코트 확보시,수비시)
어보이더블힌더(Avoidable Hinder)
경기시 수비자가 행하는 고의적인 방해 (진로방해,기타 )
어필(Appeal)
경기시 규칙에 어긋나는 상황에 대한 항의(샷이 종료된후의 심판 판정에 대한 항의)
에이스서브(Ace Serve)
상대가 받지 못해 포인트를 얻는 서브
오버 헤드 킬 샷(Overhead Kill Shot)
머리위에서 전면 코너에 내리치는 타법
오버헤드샷(Over Head Shot)
높은 볼을 머리위에서 치는 타법
Z서브(Z Serve)
Z자 모형의 형태를 따라 타구하는 서브
컨트롤(Control)
볼의 조정 능력.
컷스로우트(Cutthroat)
3인 경기로서 한 선수가 두 선수를 상대로 하는 경기 (라켓볼에만 있으며 공식경기는 없음)
코트(Court)
경기장 (길이 12.2m, 폭6.1m, 높이 6.1m의 규격의 경기장)
크로스 패싱 킬 샷(Crosscourt Passing Kill Shot)
상대 선수 옆으로 비켜 반대쪽 측면으로 낮고 강하게 치는 샷
크로치볼(Crotch Ball)
전면과 천정의 접합점 부분을 맞거나 벽면과 바닥의 접합점에 맞는 볼 (서브,리턴시 아웃처리)
킬샷(Kill Shot)
볼이 프론트월에 상대가 받을 수 없도록 낮은 샷.
타이브레이크(Tiebreaker)
양쪽팀이 세트스코어 1:1일 경우 마지막 3세트 경기
패들라켓(Paddle Racket)
나무로 만든 주걱 모양의 라켓 (초기 라켓볼 시초 경기시 사용됨.)
포어핸드(Fore Hand)
오른손 잡이의 선수가 라켓의 전면으로 치는 샷
폴로스로우(Follow Through)
볼을 치고나서 라켓의 스윙이 계속되는 동작 (볼의 방향결정에 영향을 줌)
폴트서브(Fault Serve)
서비스할 때 서브 규칙을 어긋나는 서브로 1회의 기회가 주어지는 경우(미 아마추어경우)
풋폴트(Foot Fault)
서브할 때 서브하는 사람의 발의 위치가 서비스 라인을 넘는경우(사이드 아웃적용됨)
프런트 월 킬 샷(Front Wall Kill Shot)
전면으로 낮고 강한 샷으로 포인트를 얻음
프론트 코트(Front Court)
서비스라인에서 프론트월까지의 공간 지역으로 킬샷지역
핀치샷(Pinch Shot)
볼을 사이드 월을 이용하여 전면 코너에 낮게 치는 샷
하이Z서브(High Z Serve)
프론트월 코너를 이용하여 높고 부드럽게 Z형태의 각도로 시도하는 서브
하이로브서브(High Lob Serve)
천정에서 1m 아래정도로 높게 타구하는 서브
하프로브서브(Half Lob Serve)
전면 중간 정도의 높이로 타구하는 서브
핸드아웃(Hand Out)
복식경기에서 공격자 팀의 한 선수의 서브가 아웃된 경우 (2번째서브 실시)
힌더(Hinder)
플레이 중에 상대에게 주는 우연한 방해. 이 때의 경기는 리플레이 된다.